함수를 활용한 계산기
- 함수를 이용하여 덧셈, 뺄셈, 곱셈, 나눗셈을 할 수 있는 계산기를 만들어,
{(5+4)*2/3}-5의 값을 계산하시오.
문제 분석
- 덧셈, 뺄셈, 곱셈, 나눗셈을 할 수 있는 함수 선언 필요
- 반환값을 다음 연산에 포함시켜야 하므로 리턴 타입 선언 필요
- 함수는 전부 int형으로 선언되어 있으므로 반환값도 전부 정수여야 함
코드 작성
package ex04;
public class Cal01 {
static int add(int a, int b) {
return a + b;
}
static int sub(int a, int b) {
return a - b;
}
static int mul(int a, int b) {
return a * b;
}
static int div(int a, int b) {
return a / b;
}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// 문제 : 5 + 4, 결과1 * 2, 결과2 / 3, 결과3 - 5 > 최종 결과 값 출력
int r1 = add(5, 4); // 5 + 4 = 9
int r2 = mul(r1, 2); // 9 * 2 = 18
int r3 = div(r2, 3); // 18 / 3 = 6
int r4 = sub(r3, 5); // 6 - 5 = 1
// 최종 결과 값 출력
System.out.println("Result : " + r4);
}
}
- 덧셈, 뺄셈, 곱셈, 나눗셈의 함수들은 전부 반환값이 존재해야 하므로 return 작성 필수
- 함수를 호출하여 나오는 반환값을 변수(r1, r2, r3, r4)를 이용해 저장
결과

문제 요점
- 함수에 리턴 타입, 리턴 값을 참고하여 변수에 저장할지, 바로 호출할 지 결정
- 리턴 타입이 존재하면 리턴 값도 존재해야 하며, 리턴 값의 타입도 일치해야 함에 유의
Share article